[성명]영산강 살리기, 운하건설이 아니라 기수역을 돌려달라!

2015년 9월 21일 | 미분류

성 명 서

영산강 살리기, 운하건설이 아니라 기수역을 돌려달라!

4대강 사업이 중반으로 접어들었다.

MB의 고집으로 진행되는 이 가공할만한 국토파괴사업이 벌써 2년으로 되어가면서 전체 공정률이 40%를 넘어서고 있다.

영산강 살리기, 이 이상한 강살리기는 전혀 강을 살려내지 못하고 강과 하구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특히, 영산강살리기로 포장되어 강 중류에 보(댐)이 들어서고 강 하류에 배수갑문이 교체될 예정이다.

강위에 배를 띄우기 위해서이다.

4대강 사업은 수질도 개선하고 배도 다니게 한다고 한다.

영산강 수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라면 꼭 준설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한다.

강을 하수도처럼 대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강바닥에 가라앉은 오염토를 건드려 영산호 전체를 오염시켜서는 안된다는 말이 맞다.

더군다나 영산강 살리기의 요체인 간척호수 영산호 위로 배가 다니냐 못다니냐는 더더욱 아니다.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면 영산강의 수질은 개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영산강하구에 필요한 수질은 식수원의 수질이 아니라 강하구에서 잃어버린 강생물과 물고기가 살 수 있는 환경이다.

영산강 하류는 박정희시대 때에 식량을 증산한다며 하구언 공사로 하구를 막아버렸다.

그 전까지만해도 영산포까지 하구를 거슬러 올라가 나룻배가 드나들 정도로 기수역이 광범위하였다고 한다.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영산포까지 다시 배가 드나들도록 뱃길을 복원해달라는 것이 아니다.

강하류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갯생명이 오염과 개발로 멸종되지 않도록 강하구 갯벌과 기수역 생태계 복원을 심사숙고 해달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기초조사와 과학적 연구도 거치지 않은 채 뱃길을 뚫겠다는 것은 또다른 모습의 개발주의이자 국책으로 포장된 대형토목공사이지 않은가?

도대체 과학적 근거도 과학자들의 의견도 시민의 동의도 없이 강행되는 4대강 토목공사는 얼마나 국민경제에 기여하고 있는가?

4대강 사업이 생명을 죽이고 국민경제에 보탬이 되지않는 공사라면 마땅히 중단되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이명박정부는 운하사업 일색인 4대강 공사를 즉각 중단해주기를 바란다!

2010년 10월 16일

녹색정치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