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4일과 5일 제주 강정 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이미 강정에는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전국의 시민들이 모여
강정평화대행진에 참여 하고 있었는데요,
제가 간 날은 그 평화대행진의 마지막, 6일째 되는 날이었습니다~
강정평화순례단은 제주도를 서진과 동진으로 나눠
도보로 이동하며 해군기지를 반대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시작되었는데요,
사람들의 물결 속에서 ‘해군기지결사반대’가 적힌 깃발이
여기저기 나부끼고 있었습니다..
계속된 행진에 지칠법도 했지만 이미 많이 걸어온 사람이나
이제 막 참여한 사람이나 모두 함께 외칠 수 있다는 것에 기뻐하며 함께 걸었습니다^^
광주에서도 많은 분들이 함께 모여 강정에 갔는데요,
네살난 아가부터 오랫동안 농사일만 해오신 어르신까지 함께 모여
‘해군기지반대! 강정마을에 평화를!’ 외쳤습니다^^
이날도 날이 너무 뜨거워 행진 중간에 나무그늘 밑에서 잠깐 쉬지 않고는
견딜 수 없을 정도였는데요..
6일이나 이런 뙤약볕에 걸어왔을 다른 이들을 보니 정말
대단하단 생각이 안 들수가 없었습니다…
힘들땐 노래가 가장 힘이 나는 법~
강정평화대행진 내내 참가자들을 격려했던 신짜밴드가
이날도 신나게 강정마을 노래를 불러주었습니다>_<
최종 목적지인 탑동광장에 가기 전 제주시청앞에서
강정평화순례단은 출정식을 갖고 도법스님의 말씀을 들었는데요,
평화는 싸움과 대결 속에선 싹틀수 없음을…
여기 있는 분들 모두 제주를 평화의 섬으로 지키는 데 함께 하자..고 하셨습니다..^^
탑동광장에 도착했습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그 넓은 광장을 가득 채우셨더라구요>o<
평화콘서트가 시작하기 전 여기 저기를 둘러보다
‘제주 해군기지, 밀양765kv 송전탑 싫어요!‘라고 쓰인 티셔츠를 입은 참가자분을 보았는데요,
제주 해군기지와 밀양송전탑 모두
환경을 무자비하게 파괴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지역주민의 삶역시 파괴하는
이 정부의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치적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평화콘서트가 시작되고 ‘놀멍 쉬멍 걸으멍’ 강정평화대행진에 참여했던 사람들 모두
강정의 평화를 바라며 흥겹게 놀았습니다~*>_<*
강정평화대행진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모두 이 노란색 티를 입고 있었는데요,
그 뒤쪽엔 “PEACE IS THE WAY”
“평화가 길이다”라는 짧지만 명확한
강정 해군기지에 대한 답이 적혀져 있었습니다..^^
다음날, 해군기지 공사가 이루어 지고 있는 곳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이곳은 ‘해군출입금지구역’이더라구요.ㅎ.
길을 따라 안쪽으로 들어가니 작년 치열한 혈투를 벌였던 망루가
강정의 퍼런하늘 밑에 쓸쓸히 서 있었습니다..
왜 한갓지고 평화로워야 할 어촌마을에 이런 비루한 구조물이 서 있어야 하는지…
해군기지를 만들고 있는 강정앞바다에 가보았습니다..
거대한 시멘트 덩어리들의 구럼비바위를 가득 메우고 있더라구요…
왜 이렇게 아름다운 바다와 마을을 해군기지로 망가뜨리려 하는지..
해군기지 예산이 94퍼센트나 삭감되었음에도 건설을 맡은 삼성과 대림은
여전히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새누리당과 박근혜의원은 전적으로 해군기지찬성입장….
민주통합당의 문재인의원은 참여정부때 이 해군기지가 결정됐음에도 사과는 없고..
안철수씨는 과거 4개정부가 결정했으니 해군기지는 안보상 필요할 것 같다고 하고….
누가 되야 강정에 평화가 올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대선만이 답은 아니고 우리 각자가 지금 강정에 조금씩 힘을 보태야만이
이 해군기지를 막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라고 자꾸 거짓말하는 해군…
다 드러났는데도..(아래 기사 참조)
이곳이 해군기지가 된다면 민간인은 출입금지가 된다고 합니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발포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그림..
지역 |
이름만 ‘민·군 복합’…해군기지 본색 드러났다 |
등록 : 2012.05.07 20:24수정 : 2012.05.07 20:24
“기지 전체가 군사보호구역” 공식화…국방부, 지난달 입법 예고
국토부 ‘무역항’ 지정 관련 해군 “군사구역·무역항 중복”
크루즈 입출항 군서 관할…대책위 “사실상 군항” 비판
해군은 “민·군 복합항 일부 수역이 무역항으로 지정되면서 크루즈 선박의 입·출항과 관련된 방파제, 항내 구역, 항로 등이 군사시설보호구역에서 제외된다고 일부 언론이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해군의 이런 해명은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을 추진중인 제주해군기지의 군항구역만이 아니라 민항구역도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한 것이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달 25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이 개정안은 크루즈선의 제주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의 입·출항과 관련해 “관할 부대장 등은 관광진흥법에 따라 크루즈업을 목적으로 승인·등록된 선박의 입·출항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방부와 해군의 입장을 보면 해군기지 내 크루즈선의 입·출항을 보장하지만 민항과 군항의 경계를 나누지 않고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군 기지가 군항 위주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해군은 지난달 초에도 제주도에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 지정’과 관련한 의견 제출을 요청하면서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 대상을 민항과 군항의 구분 없이 ‘제주해군기지’(120만4693㎡)라고 적시한 바 있다. 당시 제주도는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강정마을회와 제주해군기지 저지 범도민대책위원회 등은 7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항이라고 해놓고 사실상 군항으로 추진하는 게 드러났다”며 “우근민 제주지사는 허구임이 드러난 민·군 복합항에 대해 공사중지 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방부가 입법예고한 시행령 개정안의 의미는 크루즈선의 입·출항 허가는 도지사가 아니라 관할 부대장이 한다는 데 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무역항 지정 역시 국방부가 밝힌 대로 군사시설보호구역과 중복되면 사실상 ‘허명의 무역항이 될 뿐”이라고 비판했다.
한겨레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