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2일, 따스했던 가을날
통영에서는 ‘제 7회 세계 RCE 총회’가 열렸습니다.^^
입구 옆에서는 부스가 열렸어요~
한쪽 공간에서는 그린맵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그 작은손으로 열심히 지도를 만들었을 생각을하니
참 아기자기하고 귀엽더라구요..^^
광주에서도 아이들과 함께 이런 수업이나 놀이를 해보면 좋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멋진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RCE총회가 열렸습니다..

각국의 대표들이 등불을 든 아이들과 함께 무대로 올라와
RCE와 관련된 교육, 환경, 건강, 여성, 평화 등 단어를 외치고
사물놀이 공연을 함께 즐겼습니다..^^
(RCE 참여국가는 101개국인데 일부에서만 온 듯 했어요~)


여는 마당으로는
유엔대학 부총장, 이군현 국회의원, 통영시장,
통영시지속가능발전교육재단에서 함께했습니다..
그리고 ‘2012 브릿지 투 더 월드 청소년 캠프’ 참가자 대표인
두명의 학생이 나와 청소년들이 활동하고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바다가 우리에게 가르쳐주었습니다“)
캠프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모두나와 인사를 하고,
그 다음 공연에 함께했습니다..
자기장같은것으로 음을 연주하는 응 초르구안님..
말레이시아에서 오셨다고해요..^^
미리 모바일로 음원을 다운받아놓은 학생들이
무대 배경 색이 맞춰 1번부터 4번트랙까지 다양한 음악을 폰으로 틉니다..
그 소리가 배경이 되어 연주와 어울리는거죠..
통영에서 모은 4가지 소리는
풀벌레소리, 바다소리, 시장소리 등이었습니다..
(하나가 기억이 안나네요.. 어흑..ㅠㅠ)
박수갈채와 함께 공연이 끝나고..
한스 반 긴켈(Hans van Ginkel) _ 前 유엔대학 총장(1997~2007)이
RCE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RCE 총회는 전부 영어로 진행되었는데요,
통역기가 있어도 듣기 힘들더라구요..ㅠㅠ
(제 실력이 미숙하온지라…ㅠㅠ)
대강의 미숙한 해석내용들을 짧게 정리해서 첨부파일로 붙여놓겠습니다..
혹시 내용이 궁금하신분들은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RCE의 현황에 대해 잘 설명해주신 지나이다 페드바(Zinaida FADEEVA)
그리고 이어진 페널토론
왼쪽부터
클레멘스 메이더 (Clemens MADER) – 오스트리아 그라츠 RCE
카추노리 스즈키 (Katsunori SUZUKI) – 카나자와 대학교
지나이다 페드바 (Zinaida FADEEVA) – 유엔대학 고등학술 연구소 연구원
카주히코 다케모토 (Kazuhiko TAKEMOTO) – 유엔대학 고등학술 연구소 국장 (진행자)
페널토론을 마지막으로 오전 행사가 끝나고
오찬이 있었습니다..^^
각국의 음식문화를 배려하여 재료를 표시해두고,
흰두교쪽은 아예 테이블을 따로 두었더라구요~
오찬 이후에는 주제별 회의가 있었습니다..
저는 경상대학교에서 별도로 열리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정책포럼’에 갔습니다
‘한국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어디로 가야하는가?’를 주제로 강연이 이어졌습니다..
ESD는 SD에서 발전했습니다..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Ecologically Sustainable Development“가 된것입니다
지속가능한발전만 따지다가 생태, 환경분야가 추가된것이지요..
우리나라 교육에대한 비판이 많습니다..
자율성을 무시하고 학생들을 공부만 시킨다는 생각들을 많이 하니까요..
옛 어른들은 “철 든다“라는 말을 쓰셨습니다..
철든다.. 이 말이 나이가 든다는 것과 다르다는건 다들 아시죠..?
그 속 뜻은 지식을 얻고 커나갈 뿐만 아니라, 주변 관계에 대한 이해와 생각도 자라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ESD도 철이 들어야한다고 합니다..
지식을 나눌뿐만 아니라 단체별, 지역별, 사람들 간에 관계도 발전해나가야 한다는 것이죠..
이런 ESD를 위해 ‘일본 가께가와시’는 학습도시 선언을 하고
지역사회발전 등 모든 것을 교육과 연관지어 일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또, 유네스코에서도
국제평생학습도시네트워크(Global Lifelong Learning City Network, GLCN) 구축을 추진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통영을 비롯한 많은 도시들이 ESD를 위한 교육, 아카데미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광주에서도 평생학습이나 지속가능교육을 위한 네트워크, 교육 등이 많이 진행되면 좋겠네요..^^